- NEUSRAL
- Posts
- 보험업계에 불붙은 '배터리 리스크' (25.05.27)
보험업계에 불붙은 '배터리 리스크' (25.05.27)
🔋 전기차, 보험도 새 판이 필요하다

전기차 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험업계는 여전히 내연기관차 기준의 설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고가 배터리 수리, 보상 약관 부재, BaaS(배터리 구독 서비스) 확산까지…보험은 갈수록 커지는 전기차 리스크를 감당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주요 리스크 요약:
EV 수리비는 내연차보다 20% 비싸고, 수리 기간도 평균 14% 더 깁니다
사고의 83%는 바닥 충돌로 인한 배터리 손상. 평균 교체비용은 2천만 원
정비소·배터리 진단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 보상은 늘고 수리는 지연
배터리 구독(BaaS) 확산으로 소유권·보상책임 혼선. 약관 정비 시급
전기차 보급률이 오를수록 보험사 손해율도 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사고로 인한 배터리 손상 시 수천만 원의 보상 비용이 발생합니다. 여기에 배터리를 구독하는 BaaS 모델이 확산되면서, '차는 내 건데 배터리는 남의 것'이라는 복잡한 구조가 보험 약관에 구멍을 만들고 있습니다.
🌐 글로벌 트렌드:
미국 올스테이트: 전기차 보험 가입자에 최대 25% 할인
영국 엘브이(LV=): 보험+리스+충전기 설치 'ElectriX' 패키지 출시
국내도 약관 개정, 배터리 감가 적용, 보상특약 출시 등 움직임 시작
하지만 배터리 노화 vs 사고 손상 구분 기준, 공식 판별기관은 부재
사고 이력·운행 패턴 기반 요율 도입 등 데이터 보험으로 전환 필요
🚗 전기차 운전자의 푸념: "차는 미래인데, 보험은 과거네요."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