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온플법) 추진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미국이 디지털세와 규제를 빌미로 보복 관세 가능성을 시사하자, 정부·여당은 플랫폼 규제 입법을 일단 유보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온플법 안에 포함됐던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 논의는 되레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정치권은 법제화와 사회적 합의 양쪽 모두에서 강하게 밀어붙이는 분위기입니다.지금 이뤄지고 있는 변화:

지금 이뤄지고 있는 변화:

  •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배달앱 사회적 대화 기구에 쿠팡이츠·라이더·정부 부처까지 참여 확대

  • 수수료 부담 완화, 배달 선택권 보장, 배달비 고시제 도입 등 본격 논의

  • 배달앱 이용료 상한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상공인법 개정안 발의 예고

미국 기업을 직접 겨냥한 '독점 규제 조항'은 민감해서 뒤로 물러났지만, 국내 소상공인을 위한 수수료 상한제는 정치적 명분이 탄탄합니다. 트럼프가 막은 건 글로벌 기업 관련 법안일 뿐, 배달 수수료처럼 '내수 기반 민생 이슈'는 오히려 속도가 붙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전면에 나서기 어려운 만큼, 민주당이 주도권을 잡고 움직이는 양상입니다.

🍱 한줄평: 배달 수수료 논쟁은 '배달 중'입니다. 식지 않는 이슈엔 늘 뚜껑이 닫히지 않죠.

News Clipping
뉴스럴 추천기사

Reply

or to particip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