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 명품 시장에서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연이어 터지고 있습니다. 디올, 루이비통, 까르띠에에 이어 티파니에서도 올해만 두 차례 유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해킹 시도가 반복되는 이유는 이들 브랜드의 고객 정보가 높은 금전적 가치를 지니기 때문입니다.

📉 무너진 신뢰: 사고 발생 → 늦장 인지 → 뒤늦은 공지

  • 티파니는 9월 15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의 성명,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구매 이력, 고객번호 등의 유출을 알렸습니다.

  • 하지만 이번 사고는 이미 5월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피해 규모나 정확한 고객 수는 여전히 미공개입니다.

  • 티파니는 올해 4월에도 비슷한 유출 사고를 겪었고, 디올과 루이비통도 사고 발생 수개월 후에야 인지하고 신고했습니다.

  • 까르띠에 역시 고객에게 이메일로 유출 사실만 알렸을 뿐, 사고 시점조차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 왜 자꾸 당하나? 해커가 노리는 고급 정보

명품 브랜드는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일반 유통업체보다 민감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고객의 직업, 직장, 구매 이력, 시리얼 넘버까지도 관리 대상입니다. 이 데이터는 다크웹에서 고가에 거래되며, 스미싱과 보이스피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디올과 티파니의 경우, 고객관리용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에 접근하는 직원 계정이 해킹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기본적인 보안 조치가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 문제는 구조: 글로벌 시스템과 로컬 대응의 엇박자

해당 브랜드들은 글로벌 본사와 한국 지사가 IT 시스템을 분리 운영하면서도 연동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사고 발생 시 실시간 탐지와 대응이 어렵고, 공지까지 시간이 걸리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 보안은 마케팅만큼 중요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두 가지를 강조합니다:

  1. 직원 계정에 이중 인증 및 접근 IP 제한 등 보안 강화

  2. SaaS 기반 고객 관리 시스템 사용자에 대한 교육 및 관리 강화

고급 서비스를 표방하는 브랜드일수록 고객 정보 보호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데이터를 허술하게 다루는 순간, 그 브랜드의 '명품' 타이틀도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 정보보안 컨설턴트의 촌평: “지금 지켜야 할 건 가방보다 고객 정보입니다.”

매일 쏟아지는 뉴스, 피로하시죠? 꼭 필요한 뉴스만 골라드립니다.

쿠팡, 현대, 아모레퍼시픽 등 각 분야 최고의 기업에서 직접 모니터링한 뉴스를 정리합니다.

News Clipping
뉴스럴 추천기사

Reply

or to particip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