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디지털 전환 흐름에 따라 글로벌 금융사들이 빠르게 클라우드로 인프라를 이전하고 있습니다. 국내 금융사들도 마침내 규제 완화의 ‘굳은 문’을 열고, 글로벌·국산 클라우드 업체들의 각축장 한가운데로 진입했습니다.
글로벌 금융 클라우드 시장, 2033년까지 204조 원 전망 (연평균 15.1% 성장)
국내 금융사 92%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 혹은 준비 중
보험·핀테크·가상자산 업계는 100% 도입률
카드사 95%, 증권사 97%도 활용 중
2028년까지 퍼블릭 클라우드 비중 56%까지 증가 예상
금융은 대표적인 규제 산업이라 클라우드 전환이 가장 느린 분야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AI, 모바일 서비스 확대에 따라 기존 ‘레거시 시스템’으론 대응이 어렵고, 결국 퍼블릭 클라우드가 ‘금융 혁신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점유 경쟁 치열:
AWS: KB증권·신한카드·카카오페이손보 등 확보
MS·구글: 금융보안원 안정성 평가 완료
세일즈포스·SAP·워크데이 등도 시장 공략
토종 강자도 등장: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X로 한국은행·미래에셋 증권 납품
NHN클라우드: 신한EZ손보·신한투자증권 시스템 전환
삼성SDS·LG CNS도 AI 기반 금융 시스템 공급 확대
📉 그런데 현실은?
도입률은 높지만, 실제 활용률은 10% 미만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망분리 기술 장벽, 데이터 주권 문제, 기존 시스템 교체 비용이 ‘속도 제한’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한 금융 IT 담당자의 말:
“혁신 하자니까 보안 걸리고, 클라우드 올리자니 규정이… 이젠 규제 좀 걷히니까, 우리도 속도 좀 내볼랍니다.”
쿠팡·현대·아모레퍼시픽 등 각 분야 최고의 기업들이 실제로 본 뉴스를 모아, 뉴스럴 팀의 인사이트로 정리합니다.
News Clipping
뉴스럴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