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양건영을 비롯해 최근 다수의 상장 건설사들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며 투자자 신뢰에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단순한 실수나 행정 착오일 수도 있지만, 시장은 ‘성실 공시’ 여부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위기입니다. 상장사의 기본 의무인 만큼, 기업의 신뢰도와 직결된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 범양건영, 입찰제한 처분 사실을 3일 뒤에야 공시…결국 ‘불성실공시’ 지정 예고

  • IS동서, 언론 보도자료가 먼저 배포되며 공시보다 빨라 문제 발생

  • 1군 대형사들도 과거 유사 사례로 벌점 누적 및 과태료 처분 사례 다수 존재

  • 벌점이 누적되어 15점을 초과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어, 리스크 커짐

특히 건설업계처럼 프로젝트 단위로 움직이며 리스크가 크고 예측이 어려운 업종일수록 공시의 정확성뿐 아니라 ‘속도’가 중요합니다.

정보 전달이 지연되거나 누락될 경우, 시장은 그것을 ‘은폐’ 또는 ‘관리 미흡’으로 받아들이며, 주가와 평판 모두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불성실공시는 최악의 경우에는 매매정지 또는 상장폐지까지 이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벌점이나 과태료 수준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반복적인 불성실공시에 대해 더욱 엄격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 한 공시 담당자의 깨달음:

“공사보다 공시가 먼저였습니다… 서류가 늦으면 신뢰도도 늦습니다.”

쿠팡·현대·아모레퍼시픽 등 각 분야 최고의 기업들이 실제로 본 뉴스를 모아, 뉴스럴 팀의 인사이트로 정리합니다.

News Clipping
뉴스럴 추천기사

Reply

or to particip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