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가 1991년 이후 최악의 내수 부진에 직면했습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2025년 국내 시멘트 내수가 3650만 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년 대비 16.5% 감소한 수치이자, 1991년(3711만 톤)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 시멘트 내수 3650만 톤(전년비 -16.5%)

  • 업계 총 생산능력 6100만 톤… 가동률 60% 수준으로 하락

  • 운반비 3년간 40% 상승, 연간 약 1200억 원 비용 증가

  • 온실가스 감축 요구, 기술 부재로 현실성 부족

  • 건설수주 -18.9%, 착공률 -12.8%, 기성률 -18.1%

  • SOC 예산 축소로 공공부문 수요마저 위축

내년 역시 회복 기미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협회는 2026년까지도 3600만 톤 안팎의 수요 수준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물류비용 상승과 강화되는 환경 규제까지 겹치며 업계의 부담은 한층 가중되고 있습니다.

2020~2022년 간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도입에 따라 운송비가 40% 이상 오르며, 시멘트업계는 연간 1200억 원 수준의 추가 비용을 떠안게 됐습니다.

게다가 정부의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따라 시멘트 업계는 2018년 대비 53~61%의 탄소 감축을 요구받고 있지만, 기술력 부족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추가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단양 공장 인근 식당 사장님의 한마디:

"예전엔 점심시간만 되면 작업복 입은 손님들로 북적였죠. 요즘은… 도시락 한 줄도 안 나가는 날도 많아요."

쿠팡·현대·아모레퍼시픽 등 각 분야 최고의 기업들이 실제로 본 뉴스를 모아, 뉴스럴 팀의 인사이트로 정리합니다.

News Clipping
뉴스럴 추천기사

Reply

or to participate